<히에로니무스 보스or 보쉬(1450~1516)>
네델란드 출신으로 알려져 있지만 보스의 인생과 작품에 대해서는 알려진 사실이 극히 적다. 언제 태어났는지, 누구에게서 교육을 받고 누구와 교류했는지, 고향 밖으로 여행을 한 적이 있는지, 어떤 화가의 그림을 보고 영향을 받았는지, 어떤 후원자를 위해 그림을 그렸는지에 대한 자료가 거의 없다. 다만 1480년부터는 화가로 활동했으며, 이듬해 결혼했다는 기록은 남아 있다. 생애 말년에는 화가로서 명예도 누렸고, 그의 그림은 판화로 복제되어 퍼져나갔다. 그러나 활동 초기의 브뤼겔에게 영향을 준 것을 빼면 그는 어떤 화파와도 연관성을 찾을 수 없다.(브뤼겔:부자가 화가이지만 아버지가 유명함)
- 다빈치와 동 시대 화가, 지옥의 화가라고도 함.
http://www.cyworld.com/annedesign/2929715
1. 돌 수술 1475~1480 패널에 유화 48*35 프라도 미술관 마드리드
상단의 글귀: 선생님 돌을 잘라 주세요
하단의 글귀는 제 이름은 루베르트 다스입니다( 당시 우리의 돌쇠와 같은 어리석은 사람을 지목하는 이름)
돌머리 수술 장면, 머리 위에 튜울립꽃(탁자 위에도), 풍자화(인간의 어리석음을)
http://mdev.pann.nate.com/talk/202274196
2. 일곱가지 치명적 죄악과 네가지 최후의 사건이 그려진 테이블 상판 1475~1480 패널에 유화 120*150 프라도 미술관 마드리드
예수의 부활(중앙에 예수가 옆구리의 창 찔린 부위를 감싸고 있음): 글귀: 주의하라 주의하라 하느님이 보고 있다.
7가지 죄악: 탐식(식탐),나태,정욕(육욕),자만(거울을 들고 있는 늑대):나르시즘,분노,질투(삼각관계),탐욕(뇌물을 주는 손)
죽음,최후의 심판,지옥,천국을 네 귀퉁이에 그렸음
http://www.easyum.co.kr/bbs/view.php?id=news&no=41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ycheclover&logNo=110133094057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yc510&logNo=40062303099&redirect=Dlog&widgetTypeCall=true
http://talmo.co.kr/bbs/board.php?bo_table=05&wr_id=11
3. 십자가를 지고 가는 그리스도 1515~1485 목판에 유채 76.7*83.5 겐트 왕립 미술관 벨기에
군중속에 성녀 베로니카(예수의 시신에 보자기를 덮은 여인)가 그려져 있음, 세상의 소란함을 다중의 군중으로 표현(질식할 것 같은)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onyh252&logNo=120148733493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aiga2&logNo=150042655883
4. 십자가에 못박힌 그리스도 1480~1485 목판에 유채 74.461 엔트워프 왕립 미술관 벨기에
마리아, 요한,요셉(화가는 요셉을 그리면서 당시의 바지를 그림): 에수의 관을 만든, 천국의 열쇄를 들고 있는 베드로.
http://blog.ohmynews.com/sophiako/157431
5. 쾌락의 동산 1500~1501년경 나무판에 유채 220*389 프라도 미술관 마드리드
제단화로써 삼면화 임
천국및 연옥(수간,집단성교등 성적 코드가 그려져 있음) 그리고 지옥을 그린, 이상한 그림으로 해석이 분분한 그림
http://www.easyum.co.kr/bbs/view.php?id=news&no=41
http://www.easyum.co.kr/bbs/view.php?id=news&no=41
디퍼플 그룹사운드의 자켓에 지옥의 장면이 그려져 있음)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allart&logNo=90102633801
http://open123.egloos.com/849037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KRSP&articleno=8399153#ajax_history_home
쾌락의 정원
왜곡된 성관계 장면(수간 장면,집단 성교등), 딸기를 따먹는다는 저속한 표현을 그려 여자를 취한다는 그런 의미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hoikoi&logNo=70067375621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nit00n&logNo=150082246751
'서양 미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오토 (0) | 2018.11.06 |
---|---|
에곤 쉴레(1890~1918, Egon Schiele) (0) | 2013.07.11 |
빈센트 반 고흐 (0) | 2013.07.05 |
아마데오 모딜리아니(1884~1920) (0) | 2013.06.19 |
마르크 샤갈(1887~1985) (0) | 2013.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