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미술사

윌리엄 호가스 1697~1764 William Hogarth

천줄기바람 2012. 5. 29. 17:12

ㅇ 윌리엄 호가스

    런던에서 태어나  금은세공사 밑에서 수업 후 판화와 삽화가술을 습득했다. 이후 사회적 지위를 얻기 위해 초상화 제작에 몰두하였다. 교훈적 테마를 주제로 한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사회문제 관찰을 바탕으로 당시의 시대상을 풍자한 작품이 많다. 반프랑스적,시대 풍자화가

 

    - 유행에 따른 결혼 - 결혼 계약 1743 캡너스에 유채 70*90.8 영국 런던 내셔널 갤러리

 

 

 

정략결혼 장면, 신랑 부:몰락한 귀족, 신부 부: 신분을 사고저 함, 메두사 그림, 강아지 두마리가 연결되어 있음(풍자)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968

http://www.segye.com/Articles/NEWS/CULTURE/Article.asp?aid=20090430003976&subctg1=&subctg2=

 

    - 유행에 따른 결혼 - 결혼 계약 1743 캡너스에 유채 70*91 영국 런던 내셔널 갤러리

 


 

강아지가 남자의 바지에서 다른 여자의 속옷을 꺼내고 있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353&aid=0000006586

 

 

http://cafe.naver.com/oinkcook/271


http://cafe.naver.com/oinkcook/271

 


ㅇ 궁전문화시기: 로코코풍과 바로크풍

 

로코코[ rococo ]




18세기 프랑스에서 생겨난 예술형식으로 어원은 프랑스어 rocaille(조개무늬 장식, 자갈)에서 왔다.

로코코는 바로크 시대의 호방한 취향을 이어 받아 경박함 속에 표현되는 화려한 색채와 섬세한 장식이 특징이다. 로코코는 왕실예술이 아니라 귀족과 부르주아의 예술이다. 유희와 쾌락의 추구에 몰두해 있던 루이 14세 사후, 18세기 프랑스 사회의 귀족계급이 추구한 사치스럽고 우아한 성격 및 유희적이고 변덕스러운 매력, 동시에 부드럽고 내면적인 성격을 가진 사교계 예술을 말하는 것이다.

로코코란 개념이 서양 예술사에 전문용어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1840년대로 추정되며, 좁은 의미에서 로코코란 루이 15세 시대(1730-1750)에 유행했던 프랑스 건축의 내부 장식 · 미술 · 생활용구의 장식적인 양식을 의미한다. 그 후 이 국한된 의미를 벗어나 예술사를 연구하는 전문가들 사이에서 후기 바로크를 이어주는 건축과 서양미술의 한 예술 양식으로 쓰이기 시작하였다. 엄밀한 의미에서 로코코는 바로크나 르네상스처럼 한 시대를 대표하는 사조라고 볼 수 없는데, 그 이유는 18세기는 로코코뿐만 아니라 바로크 · 고전주의 · 낭만주의 등이 병존하는 시대이며, 이 시기에 유행하고 나타난 예술양식들은 서로 간에 영향을 주고받던 관계에 있었기 때문이다. 로코코는 문학사에서도 우아함 · 수려함 · 경쾌함이 특징인 18세기 문학 작품들을 가리키는 용어로 쓰인다.

 

바로크[ baroque ]


원어는 ‘찌그러진 진주’라는 뜻의 포르투갈어에서 유래한다. 르네상스 전성기가 지난 16세기 말부터 17세기까지 유럽 건축미술의 한 특징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요즘은 장르와 시대에 한정하지 않고 어느 시대의 예술이든지 그 비슷한 특징이 나타나면 이를 가리켜 ‘바로크 풍’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17세기 유럽의 바로크 풍은 르네상스 시대의 특징인 질서와 균형, 조화와 논리성과 달리 우연과 자유분방함, 기괴한 양상 등이 강조된 예술양식이다. 바로크는 단순히 자유분방함과 불균형만을 전면에 내세우지 않고 최소한의 질서와 논리가 유지되기 때문에 더욱 바로크적 특성이 발휘되는 장점이 있다. 전통적 표현방식을 자의식이 강조되는 모더니즘 내에서 활용하려는 급진적 노력의 결과로 나타난 양식이라고 설명한 학자도 있다. 정지· 안정 상태를 피하기 위하여 기이한 이미지나 논리 등을 사용함으로써 기괴, 난해, 궤변, 기상천외의 효과가 드러난다. 영국의 형이상학파 시인들(존 던, 조지 허버트 등)을 ‘바로크 하다’고 말하는 이유는 이 시인들의 작품에서 이러한 바로크적 특징들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현대 작가들의 작품에서도 간혹 바로크한 면들이 발견되지만 그들은 대부분 기괴 또는 기상천외한 면들만 강조할 뿐 바로크 예술의 근간인 질서와 논리를 수용하는 태도가 부족하다.